2005/12/06

웹에서의 다중 플랫폼 정보 접근성 이야기

어디서부터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내야 할까? 웹은 오래전부터 정보 접근성을 누구에게나 개방했었다.

그런데 웹이 무르익기도 전에 네스케이프(http://www.netscape.com)는 웹의 주도권을 놓고 독주하기 시작하면서 브라우저에 자체의 기능을 넣고 질주를 계속하다 새 제품의 출시 이유로 MS의 IE에게 브라우저의 왕자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

하지만 IE는 웹의 표준을 마음대로 무시했으며 심지어 IE가 질주하는 동안에 많은 애플리케이션 업체들은 IE 자체에 먹는 테크닉과 MS Windows에만 이식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우리가 다이나믹 HTML이라 부르는 그 기술들이 사실은 브라우저와 OS에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편리하게 다루는데 있어서 MS의 Active X 기술에 제동을 걸 필요는 없다.

하 지만 내가 Active X에 제동을 걸고자 하는 건 다른 이유에서다. 바로 정보 접근성이라는 건데, MS는 아직까지도 모질라 프로젝트가 밀고있는 Cross Platform 기술인 XPCOM을 무시하고 있다는 거다. 그 덕분에 수많은 리눅스와 맥 유저들은 많은 은행들에 인터넷 뱅킹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나만 해도 인터넷 뱅킹을 할려고 윈도우를 가끔 킨다. 근데 이러한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 의존적인 기술이 은행에만 도입된 것은 아니라는 거다. 그럼 어디에 도입되었냐고?

국가 교육기관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가 전자 정부 사이트, 국가 과학 도서관 등 수많은 정부 부처 및 국가 기관들이다.

이들 기관은 윈도우가 아니면 그 어떠한 혜택을 누릴 수 없다. 물론 여기에 그 기관들을 나열한다는 건 어려운 일일뿐더러 그렇게 해서 얻어질 수 있는 혜택은 많지 않다.

그럼 왜 이처럼 우리에게 웹에서의 정보 접근성은 차단되어 있는 것일까? 답은 하나다. 정보 접근성은 우리 스스로가 찾지 않으려 했다는 것이다.

물론 1차적으로 물었을때가 답이지만 2차적으로는 국가 IT를 책임지는 정보통신부와 그 외 기관이 넉을 놓고 윈도우가 독점하는 꼴을 바라봤다는 거다.

리눅스가 성장하기에 앞서 수 많은 브라우저가 공통으로 제공하는 Cross Platform 기술을 사용했더라면 이런일은 없었을텐데 아쉬운 부분이다.

정보접근성. 머지 않은 날에 해결되겠지만 소수의 유저가 모든 웹 사이트에 자유로이 드나들며 밝게 웃을 수 있는 날이 언제쯤 올까?

댓글 없음: